몰 농도
다연 기자 2021.06.05 23:02

 

*전 편과 이어지는 내용이지만 귀찮아서 링크는 안보냅니다. (?)

 

 

1) 용해와 용액

자 용해와 용액! 농도와 관련된 개념이니 이 두 개념을 먼저 짚고 넘어가는 게 맞는 것 같아 한번 간단하게 알아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초등학교 때 용매에 용질을 섞으면 즉, 용해하면 용액이 된다고 배웠을 겁니다. 용매와 용질이 햇갈리시는 분이 있으실 텐데요. 용매는 녹이는 물질이고 용질은 녹는 물질입니다. 예 이렇게 배웠는데 햇갈리는거죠? 좀 더 사전적 정의로 들어가보자면 용매는 양이 더 많은 물질이고, 용질은 양이 더 작은 물질입니다. 그리고 이 두 개를 골고루 섞는 과정을 용해한다, 라고 하고 그렇게 용매와 용질이 섞인 물질을 용액이라고 합니다.

 

 

2) 퍼센트 농도

몰 농도에 들어가기 전에, 우리에게 친숙한 농도를 구하는 방법을 써보고 갑시다. 네 그렇습니다. 퍼센트 농도! 단위가 %인 이 퍼센트 농도, 맞습니다. 퍼센트 농도는 주로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데요. 안타깝게도 화학 반응은 무게가 아닌 개수비로 반응하기 때문에 실제 화학 실험에서는 퍼센트 농도를 잘 안 씁니다(뇌피셜).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퍼센트 농도를 구하는 식을 한번 적고, 몰 농도로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퍼센트 농도(%) = 용질의 질량(g)/용액의 질량(g) x 100 = 1(g)/용매의 질량(g) x 100' 

 

마지막에 적은 '1(g)/용매의 질량(g) x 100'은 용액의 질량이 용매 + 용질의 질량이니 용액의 질량을 상쇄시켜서 용매의 질량만 남겨놓은 값입니다. 

 

 

3) 몰 농도

자, 이제 몰 농도입니다. 제가 앞의 개념에서 몰 농도가 무엇인지 약간의 힌트를 숨겨놓았는데요. 뭘까요? 네, 바로 '안타깝게도 화학 반응은 무게가 아닌 개수비로 반응' 이라는 단락입니다. 그러면 개수비로 반응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농도를 구하는 방식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우리 몰 농도가 등장합니다. 몰은 입자 개수의 단위니까요. 잘 보셔야 합니다. 몰 농도가 나중에 고등학교 가면 처음에 힘들 수 있거든요. 일단 먼저 식을 적겠습니다.

 

'몰 농도(M) = 용질의 양(mol)/용액의 부피(L)'

 

끝! 간단하죠? 네 the love게 어렵습니다. 어렵다기 보다는 용질의 양을 몰수로 구해야 하니 계산을 두 번 해야해요. 물론 몰수를 주는 경우도 있다만... 생각보다 식이 바로 안나온답니다. 문제를 풀어보면 그래요. 위의 식을 약간 변형하면 이런 식도 나온답니다.

 

'용질의 양(mol) = 용액의 몰 농도(mol/L) x 용액의 부피(L)'

 

이 2가지 식을 유연하게 사용하다보면 문제를 풀 수 있으실 겁니다. 

 

 

오늘 분량은 생각보다 짧네요. 그만큼 부족한 점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혹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마음껏 질문해주세요! 다들 아마 워낙 천재시니 저의 이런 설명 실력에도 불구하고 이해하셨겠지만... 제가 약간 생략한 앞의 개념들도 있거든요. 그거를 모르고 계시면 이해하기 어려우실 수 있으니 부담없이 질문해주세요! 그러면 이번화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다음에는 쉬어가는 느낌으로 원자에 대해 다뤄보도록 할게요! 뭐 다들 아는 내용이라 과학사 느낌으로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ㅎㅎ

태그
댓글 2
  •  
    다연 기자 2021.06.06 12:30

    볼드체요?

    0
  •  
    조민서 기자 2021.06.06 12:13

    이거 글자 굵게하는거 어떻게 하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