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스택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이용해 광학적 방법이나 밀도 차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공동연구진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자체의 전기화학 반응과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와의 관계를 전기화학 반응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전압 측정 시스템을 구성했다. 또한 단위 전지뿐만 아니라 실제 시스템에 장착되는 수십 개의 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연료전지 스택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관계식을 개발하여 +/- 0.1 M 농도의 높은 정확도로 농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연구는 상용화가 용이한 직접 연료전지 스택 자체로 농도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 고가의 농도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한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전기 화학반응 측정 셀과 같은 센서 없는 측정 방법은 군용, 지게차, 레저용 휴대 전원 등의 산업 성장과 함께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소형화, 고정밀화가 가능한 전기 화학반응 기술의 접목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를 측정할수있는 센서라니..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 무척 신기할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