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이 부식된다는 것은 금속이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부식은 금속이 공기 중에서 산소나 수분의 영향을 받아 산화되는 것으로 금속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어 광택이 사라지고 전기 전도성을 잃게 됩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막이 대단히 얇지만 그 막이 치밀하여 오히려 금속 내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금속 고유의 광택을 더욱더 오랫동안 유지시키기도 합니다. 그러나 습기가 많거나, 염화 이온(Cl-)과 같은 음이온, 질소나 유황의 기체 산화물 등이 존재하게 되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어 금속을 완전히 망가뜨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금속인 철은 어떻게 해서 부식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철은 반응성이 큰 금속이므로 전자를 잘 잃어 부식되기 쉽습니다.
즉, 철의 부식은 상온에서 물과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산화철이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산화철은 금속 표면에서 쉽게 떨어져 나오므로 안쪽의 철까지 부식되어 철 전체가 못 쓰게 됩니다.
네이버블로그
하지만 모든 금속들이 철과 같이 부식이 빠른 것은 아닙니다.
금속들은 서로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금속마다 부식되는 속도도 다릅니다.
이것은 금속의 반응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반응성의 순서를 화학에서는 금속의 이온화 경향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에 비해 부식되는 속도가 빠르답니다.
또 같은 금속이라도 공기와 수분이 함께 접촉하고 있으면 금속의 부식 속도는 훨씬 빨라지게 됩니다.
그러면 부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요.
흔히 산소나 습기로부터 금속을 보호하기 위해 페인트나 금속 도금 등 얇은 막을 입히기도 합니다.
크롬이나 주석은 견고한 산화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강철을 도금하는 데 많이 쓰입니다.
금속이 부식하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금속의 부식이 늘 나쁜 것은 아니라는 걸 잘 알려 주는 기사네요. 지구에는 어디에든 산소가 있고, 그래서 금속이 산화(부식)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겠죠. 이를 늦추거나 유지시키는 것이 인간의 기술력일 거고요. 마지막에 이 기술력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끝이 나는데, 마무리가 약간 갑작스럽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기사를 마무리하는 멘트가 하나쯤 들어갔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